2021 DMZ 아트앤피스 플랫폼 
유니마루, 파주, 대한민국

2021 DMZ Art&Peace Platform 
Uni maru, Paju, KR
9월 15일 - 11월 15일
2021년

15 September – 15 November
2021



Sulki and Min ✕ Songhee Noh
There/Here
2021,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12min 8sec.
슬기와민 ✕ 노송희
저곳/이곳
2021,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2분 8초.
영상
3D 그래픽
촬영
음악
지도정보


주최, 주관
전시 기획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코디네이터


Director
3D graphics
Cinematography
Sound
Map data


Host, Organizer

Exhibition Director
Assistant Curator
Coordinator

노송희
노송희, 차현진
노송희, 노희상
안다영
구글어스
국토지리정보원

통일부 남북출입사무소, 문화협력 팀
정연심
김태현
김소진


Songhee Noh
Songhee Noh, Hyunjin Cha
Songhee Noh, Heesang Noh
Dayoung Ahn
Google Earth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Ministry of Unification Inter-Korean Transit Cultural Cooperation Team
Yoeon Shim Chung
Taehyun Kim
Sojin Joy Kim


Link
‘이상향’을 뜻하는 ‘유토피아(utopia)'는 어원상 ’존재하지 않는 곳‘을 뜻한다. 비무장지대(DMZ)는 유토피아에 대한 상충하는 관념과 욕망이 폭력적으로 충돌한 결과 형성된 공간이다. ’이곳(here)‘도 아니고 ’저곳(there)‘도 아닌 장소 로서, 일종의 전도된 유토피아(nowhere)이기도 하다. 도라산역에 무인 지대처럼 유지되는 컨테이너 공터에 임시 설치될 〈이곳/저곳〉은, 존재하지 않는 곳, 아무 곳도 아닌 곳을 다시 구체적인 장소로 선언하고픈 마음을 표현한다. 다만, 여기서 해당 공간은 ’이곳이냐 저곳이냐‘라는 양자 택일을 거부하는 이중적 장소로 규정된다. ’이곳도 아니고 저곳도 아닌 곳‘을 ’이곳이자 저곳‘으로 바꾸어 부르는 연습이다. 

슬기와민의 지면 그래픽 작품 이곳/저곳과 연계해— 얼마간은 그 작품을 실제로 보기가 어렵다는 사실에 대응해— 제작된 영상 저곳/이곳은 비무장 지대라는 장소가 지닌 이중성에 주목한다. 영상은 시간과 동선의 제약 하에서 인간이 경험하는 비무장 지대와 자유로이 공간을 오가는 동물의 신체로 경험하는 비무장 지대를 중첩시킨다. 같은 대상이 서로 다른 감각으로 인지되는 모습은 해당 공간의 모순된 상황이 ‘이곳이자 저곳’으로 변화할 가능성을 암시한다. 가상 공간에 연출된 비무장 지대는 러닝타임 12분 동안 지난 70년의 역사와 현재를 그리며 미래로의 확장을 모색한다. 
(슬기와 민)

The literal meaning of utopia – “an ideal state” – is “no place.”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 is a space created as a result of a violent clash between conflicting ideas and desires for utopia. As a site that does not belong either here or there, it is also a kind of utopia/nowhere. The empty container lot at the Dorasan Station is where Here/There is temporarily installed. It seeks to reclaim the site – which is nowhere therefore nonexistent – as a specific place, highlighting its dual identity that resists an either/or categorization. The work is an exercise of reimagining a space that is neither here nor there as a place that is here as well as there. The letterform is constructed against the surface grid of the enormous container yard. The words are so big that they are not easily recognizable from anywhere but from far above: an impossibility given the sensitive nature of the site. This inaccessibility makes the meaning of the work even more poignant.

Created to accompany our ground graphic work Here/There – and partly responding to its limited accessibility due to its location – There/Here focuses on the dual identity of the Demilitarized Zone (DMZ), which is not here nor there. This video overlays two contrasting images of the DMZ: one experienced by humans under constraints and the other perceived by animals with freedom. Through the contrast, it implies a possibility of transforming the paradoxical space into a place that is here as well as there. Over the 12-minute duration, the virtual DMZ recollects its seventy-year history and seeks to extend into the future.
(Sulki&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