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두산아트랩
두산아트센터 두산갤러리
종로구 종로 33길 15, 서울, 대한민국

2025 Doosan Art Lab
Doosan Art Center, Doosan Gallery
15, Jong-ro 33-gil, Jongno-gu, Seoul, KR
1월 22일 - 3월 8일
2025년

22 January – 8 March
2025



Best Television is Noh Television
2025,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15min, 250 ✕ 250 ✕ 80 cm.
Best Television is Noh Television
2025,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5분, 250 ✕ 250 ✕ 80 cm.



영상
음악
전시 전경 사진
제공

큐레이터
참여작가





Video by 
Music by
Installation View Photo by
Courtesy of 

Curator
Artists



노송희
안다영
이의록
두산아트센터 두산갤러리

장혜정, 강하람, 유진영
고요손
김유자
노송희
장다은
장영해

Songhee Noh
Dayoung Ahn
Euirock Lee

DOOSAN Art Center DOOSAN Gallery

Hyejung Jang, Haram Kang, Jinyoung You 
Goyoson
Yuja Kim
Songhee Noh
Jang Daeun
Chang Younghae


Link

‘두산아트랩'은 두산아트센터가 시각 예술과 공연 예술 부문의 젊은 예술가를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2010년부터 진행해 온 프로그램으로, 시각 예술 분야는 매년 35세 이하의 작가 다섯 명을 공모로 선정해 단체전의 형태로 소개한다. 이번 〈두산아트랩 전시2025〉에는 고요손, 김유자, 노송희, 장다은, 장영해 작가가 참여한다. 
노송희는 유무형의 아카이브와 전시 공간을 재료로 삼아 이를 메타화한 영상을 제작한다. 작가는 자료의 본질을 면밀히 탐구하는 동시에 기존 서사에 고정된 장면을 해체하여 기억에 새로운 속도와 구조를 부여한다. 이번 전시의 작업〈Best Television is Noh Television〉(2025)에서 그는 디지털 영상 매체가 제공하는 어디서든 감상이 가능한 접근성을 전복하고자 전시 공간과 화면 속 가상 공간 간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한다. 영상에서 작가는 두산 갤러리 공간을 본인의 지난 작업들을 망라하는 새로운 가상 전시공간으로 전유한다. 영상은 전시장 입구를 시작으로 또 다른 가상의 전시 공간으로 이어지며, 곳곳에 배치된 〈진리는 가면의 진리다〉(2021), 〈타임쉬프팅박스〉(2022) 등 작가의 지난 영상과 2024년 시청각 랩에서 열린 개인전 《DIZZY》의 기록물들을 경유한다. 실제와 가상의 두 공간이 맞물려 만들어내는 경험은 관객에게 이질적이면서도 하나의 통합된 세계로 다가오며, ‘어디에 있는가' 라는 질문을 던진다. 노송희는 이를 통해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며 또 다른 방식의 아카이브 읽기를 제안한다. 

The DOOSAN ART LAB program has been run by DOOSAN
Art Center since 2010 as a way of discovering and supporting young practitioners of the visual and performing arts. Each year, five visual artists aged 35 and under are selected on a competitive basis to have their work shown at a group exhibition. The artists taking part in DOOSAN ART LAB Exhibition 2025 are goyoson, Yuja Kim, Songhee Noh, Jang Daeun, and Chang Younghae.
Songhee Noh makes use of tangible and intangible archives and exhibition spaces as her materials, producing videos that usher them to a meta level. Beyond her close examinations of the essence of materials, Noh imbues new tempos and structures into memory through her deconstructions of fixed scenes from existing narra-tives. In this video work, Best Television is Noh Television
(2025), she attempts to subvert the accessibility of digital video as a medium that can be played in any setting. To this end, she posits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virtual environment on the screen.
In the video, she imagines the DOOSAN Gallery as a new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storing and displaying her past works. The video leads from the gallery entrance to the setting of a different virtual exhibition, passing by previous video works by the artist on the way-including The truth is the one that is masked (2021) and Time Shifting Box (2022)-along with archival materials from her 2024 solo exhibition Dizzy at Audio Visual Pavilion. The experience created as the real and virtual spaces interact is perceived by the viewer as a world that is heterogeneous yet integrated, posing questions about "where" they are present. As she connects physical and digital space and the past and present, Songhee Noh proposes a different approach to archival reading.



2024 제7회 창원조각비엔날레, 큰 사과가 소리없이
성산아트홀, 창원, 대한민국

The 7th Changwon Sculpture Biennale 2024, Silent Apple
Seongsan Art Hall, Changwon, KR
9월 27일 - 11월 10일
2024년

27 September – 10 November
2024



Catwalk
2024, Two-channel video, three-channel LED panels, color, sound, 5min, dimensions variable
캣워크
2024, 2채널 비디오, 3채널 LED 패널, 컬러, 사운드 5분, 가변설치



영상
음악
자료제공

커미션
전시 전경 사진
제공

예술감독
큐레이터

Video by 
Music by
Data provided by

Commissioned by 
Installation View Photo by
Courtesy of 

Artistic Director
Curators

노송희
장영규
창원특례시 축산과
창원아카이브
2024 제7회 창원조각비엔날레
사진 스튜디오 수직수평(홍철기)
창원문화재단 · 2024 제7회 창원조각비엔날레

현시원
이미지, 박현

Songhee Noh
Jang young gyu
Changwon City Livestock Affairs Division
Changwon City Archive
The 7th Changwon Sculpture Biennale 2024
studio SUJIKSUPYUNG (Cheolki Hong)
Changwon Cultural Foundation · The 7th Changwon Sculpture Biennale 2024

Hyun Seewon
Miji Lee, Park Hyun

 Link



노송희는 오픈 데이터 소스를 동시대의 사료로서 바라보며 영상을 통해 역사를 구조화하고 현재의 시점을 재배치한다. 작가는 태생적으로 성장 중심, 발전주의, 위생 담론 속에서 형성된 국가 주도 계획도시 창원의 탈성적(bleached sexuality) 요소에 집중한다. 공장 내부의 점검로를 뜻하기도 하는 ‘캣워크’는 탈색된 개체의 상징으로서 등장하는 중성화 수술 직후의 고양이들의 관점과 도시 표면을 뒤덮은 횡단보도, 보도블럭 데이터를 중심으로 빠르게 전개된다. 

Looking at open data sources as contemporary archives, Noh uses the moving image to structure history and reposition the present. The artist focuses on the bleached sexuality of the stat — led planned city of Changwon, inherently shaped by growth-oriented, developmentalist, and hygiene discourses. ‘Catwalk’, which also refers to the inspection lanes inside a factory. Unfolds at a fast pace through the perspectives of spayed and neutered cats — who emerge as symbols of the bleached individual — while also centering the data of the crosswalks and sidewalk blocks the blanket the city’s surfaces.

모든 산은 섬이다
몰타기사단 수도원
베니스, 이탈리아

Every Island is a Mountain
Palazzo Malta-Ordine di Malta
Venezia, IT
4월 9일 - 9월 8일
2024년

9 April – 8 September
2024



RAS (Random Access Space)
2024,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12min
랜덤 액세스 스페이스
2024,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2분


감독
편집
음악
글 인용

자료제공



자료 촬영
커미션
도움

예술감독
공동 큐레이터
협력 큐레이터
아카이브 책임연구원
아카이브 연구원
아카이브 영상 작가


Directed by
Video Edited by 
Music by
Text Quote from

Archival Materials given by


Photography by
Commissioned by 
Special Thanks to

Artistic Director
Co-Curator
Associate Curator
Senior Archive Researcher
Archive Researcher
Archival Video Artists



노송희
노송희
안다영
김석철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설계 이야기」
만쿠조와 세레나 도시건축설계사무소 
프랑코 만쿠조
아르코예술기록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CJYART STUDIO (조준용)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비파운데이션 (호경윤, 이다영)

임근혜
심소미
변영선, 이준영, 채병훈
호경윤
이다영
노송희, 백종관


Songhee Noh
Songhee Noh
Dayoung Ahn
Seok Chul Kim
Behind the Scenes: Designing the Korea Pavilion at the Venice Biennale
Mancuso e Serena Architetti Associati, Franco Mancuso
ARKO Arts Archive, Arts Coundil Korea
CJYART STUDIO(Junyong Cho)
Arts Council Korea
Bf(Kyoung-yun Ho, Dayoung Lee)

Jade Keunhye Lim
Somi Sim
Youngsun Byun, Junyoung Lee, B. Jun Chae
Kyoung-yun Ho

Dayoung Lee
Songhee Noh
Paik JongKwan


Link


작품에는 1993년부터 1995년까지 한국관을 짓는 과정에서 생성된 건축 도면, 도큐먼트, 드로잉이 등장한다. 건축가 김석철과 함께 한국관 건축에 참여했던 프랑코 만쿠조가 2023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아르코 기록원)에 그간 모아두었던 자료들도 등장한다. 1990년대 한국의 문민정부, 백남준, 건축가 김석철과 프랑코 만쿠조(Franco Mancuso)의 적극적인 활약이 한국관 건립 아래에 있었다. 관객들은 이들이 주고받았던 파편적인 기록과 기억들, 예를 들면 건축 과정에서 생기는 소음, 한국-이탈리아의 건축가들이 주고받았던 팩스, 드로잉, 건축 모형 등을 감상할 수 있다. 이것들은 리듬을 만들어간다. 당시의 상황을 즐겁게 상상하도록 한다. 

The work features architectural drawings, documents, and sketches cre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Korean Pavilion from 1993 to 1995. Materials that Franco Mancuso, who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Korean Pavilion alongside architect Kim Seok-cheol, had collected and submitted to the Arts Council Korea (ARKO Archives) in 2023 are also displayed. The Korean civilian government of the 1990s, Nam June Paik, architect Kim Seok-cheol, and Franco Mancuso played active roles in establishing the Korean Pavilion. Viewers can appreciate the fragmentary records and memories exchanged between them, such as construction noise, faxes exchanged between Korean and Italian architects, drawings, and architectural models. These elements create a rhythm, allowing visitors to pleasantly imagine the circumstances of that time.

디지
시청각 랩, 서울, 대한민국
용문동, 38-118, 1층

DIZZY
AVP Lab
1F, 38-118 Yongmun dong, Seoul, KR
10월 12일 - 29일
2023년

12 - 29 October
2023



기획
그래픽 디자인
지원
구조물 설치
사진
음악
실크스크린
벽화 도움
철수

Curator 
Graphic Designer 
Supported by
Structure Installation
Photo
Sound
Silkscreen
Walldrawing Support
withdrawal
현시원
최슬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이태석
김상태, 김지수
안다영
SAA (정성훈, 이산하)
차현진
김성식

Seewon Hyun
Seulgi Choei
Arko Art Council
Taeseouk Lee
Sangtae Kim, Jisoo Kim
Dayoung Ahn
SAA (Sunghun Jung, Sanha Lee)
Hyunjin Cha
Sungsik Kim



Text: 임근준 (Geun Jun Lim)
Link

시청각 랩은 2023년 10월 12일부터 29일까지 노송희 개인전 «DIZZY»를 연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아카이브와 영상, 도면과 실제 공간의 관계를 신작과 기존 작업에 기반한 변형작 등으로 새롭게 구조화한다. 그는 시청각 공간을 작업의 재료로 다루며 가려져 있던 공간을 개조하고, 신작 영상을 관람하는 전시의 동선을 물질화하는 실내 건축(인테리어)을 설계한다. 노송희는 2020년 이후 유무형의 방대한 아카이브 자료에 기반해 시청각, 개인 예술가, 미술 기관 등과 협업하며 작가 특유의 3D와 2D의 시점 이동을 드러내는 영상 작업을 제작해왔다. 그 여정에서 작가는 자료의 위상과 아카이빙 실천 자체를 시각 언어의 시스템과 리듬의 문제로 변화시켰다. 작가의 개인전 «DIZZY»에는 아카이브와 작가의 1:다차원적 관계뿐 아니라 작업의 다른 인공물로서의 도면, 기록 장치, 보관함 등이 물질화되어 등장한다. 사전에서 ‘DI’로 시작하는 단어들, 각종 과일 모양(shape)을 잇는 작가의 탐구는 디지털 시간과 실제 시간, 자료가 넘치는 공간과 새 전시가 열릴 아예 다른 공간으로의 변화를 오간다. 작가의 ’전시 모양’은 각각의 방과 통로, 스케일과 이동을 예측하는 건축적 형태로서 이번 전시를 만든다. 
(글 현시원)

The Audiovisual Lab will open Noh Song-hee's solo exhibition "DIZZY" from October 12 to 29, 2023.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 restructu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chive and video, blueprint, and actual space through new works and modified works based on existing works. She treats the audiovisual space as the material of her work, renovates the hidden space, and designs interior architecture that materializes the exhibition's route to viewing new videos. Since 2020, Noh Song-hee has been producing video works that reveal her unique shift in the perspective of 3D and 2D based on a vast amount of tangible and intangible archive materials, collaborating with audiovisuals, individual artists, and art organizations. In that journey, the artist transformed the status of the data and the practice of archiving itself into a problem of visual language system and rhythm. In the artist's solo exhibition "DIZZY", not only the 1:multidimens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archive and the artist, but also blueprints, recording devices, and storage boxes as other artifacts of the work are materialized and appear. The artist's exploration of words starting with 'DI' in the dictionary and connecting various fruit shapes (shapes) goes back and forth between digital time and real time, and the space overflowing with data and the completely different space where the new exhibition will open. The artist’s 'exhibition shape' makes this exhibition as architectural forms that predict each room and passage, scale, and movement. 
(Written by Hyun Seewon)





디비, 디비, 딥
dbdbdeep.kr

DB, DB, DEEP
dbdbdeep.kr
10월 31일 - 이 웹사이트는 계속해서 작업중입니다.
2023년 

31 October - This website is forever in the making
2023



기획 
웹사이트 개발
웹사이트 디자인
영상
글 
지원


Curator
Web Development
Web Design 
Video
Text
Supported by 
김재현, 노송희
김재현
최슬기 
노송희
김재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Jaehyeon Kim, Songhee Noh
Jaehyeon Kim
Seulgi Choei
Songhee Noh
Jaehyeon Kim
Arko Art Council
디비디비딥은 연구자, 시각예술가, 디자이너, 번역가가 참여한 조사, 연구, 창작 프로젝트로 2023년 ARKO 온라인 미디어 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디비디비딥은 과거에 활동했던 에술가, 디자이너, 정력가 등의 행적을 추적하고 그들이 남긴 기록물들 뿐 아니라 그 기록물과 연관되어 있는 여러 참조망들을 서로 연결시켜 해당 인물에 대한 이해의 외연을 늘리는 것을 첫번째 목표로 삼아 활동하고 있다.

디비디비딥이 선정한 첫번째 인물은 1950년 -60년대 뉴욕에서 미술비평가, 시인으로 활동했던 프랭크 오하라(Frank O’Hara)이다. 이번 기획 ‘PP(Polluted Poems)’는 시인들의 선집에 주로 붙는 접두사 Collected, Selected에서 시작된 언어유희인 동시에 프랭크 오하라의 시론 Personic-Poetry를 환기시키기도 한다. 오하라의 시 속에 등장하는 단어들은 그의 개인 경험의 층위에서 이미 새롭게 재해석 되어 등장는데, 예를 들어 그의 정서는 그가 걷는 도시의 외관에 영향을 받아 새롭고 낯선 단어로 표현되기 시작하고, 그와 동시에 일반적인 도시의 풍경(segram building)은 그의 정서를 환기시키는 주요한 매개체로서 변형되는 것이다. 그것을 일종의 왜곡 혹은 감히 ‘오염’이라고 불러보면 어떨까. 오하라에게 있어 제임스 딘(Jaems Dean), 콜라(Coca Colla), 시그램 빌딩, 모마(MoMA)의 미술작품들은 일반상식선에서 이해되는 측면에 그만의 개인적인 뉘앙스를 ‘더해’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오하라의 시를 읽는 것은 일반적인 고유명사들에 다른 층위의 의미들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그 의미들이 어떻게 굴절되고 새로워지는지 파악하는 일종의 추적 행위가 되며, 그의 시 중간중간 우리는 밑줄을 긋거나 시집 귀퉁이에 메모를 하게 된다. 그렇게 덕지덕지 무언가 붙여나가고 정리하고, 갈무리하는 작업의 기록을 이번 기획 속에 담아보려 한다.

DBDBDeep is a research, investigation, and creative project participated by researchers, visual artists, designers, and translators, which received support from the ARKO Online Media Business in 2023. Dibidibideep is actively working with the primary goal of tracing the actions of artists, designers, and energists who have previously been active, not only the records they left behind, but also expanding the scope of understanding about the person by connecting various reference networks associated with that record.

The first person is Frank O’Hara, who worked as an art critic and poet in New York in the 1950s and 1960s. This project, ‘PP: Polluted Poems’, is a play on words that originates from the prefixes Collected and Selected, which are usually attached to poets' anthologies, and also evokes Frank O'Hara's poetic theory of Personic-Poetry. The words that appear in O’Hara's poetry have already been reinterpreted and appear at the level of Frank O'Hara's personal experience. For example, his emotions are influenced by the appearance of the city he walks through and begin to be expressed in new and unfamiliar words. At the same time, the general urban landscape (seagram buildings) is transformed into a major medium that evokes his emotions. How about calling it a kind of distortion or, dare we say it, ‘pollution’? For O’Hara, works of art by James Dean, Coke, the Seagram Building, or MoMA have their own personal nuances 'added' to the aspects of understanding that are understood in common sense. Therefore, reading O'Hara's poetry is a kind of tracing act to understand that there are different levels of meaning in common proper nouns and to understand how those meanings are refracted and renewed. In between his poems, we underline or write notes in the corners of the poetry collection. It is done. In this project, I plan to capture the record of the work of attaching, organizing, and storing things.





세마피칭: 기록하는 미술관, 기억하는 미래
서울시립미술아카이브, 서울, 대한민국
종로구, 평창문화로 101 

SeMA PITCHING: Art Museum that Archives, Remembering Future
Art Archives Seoul Museum of Art
101, Pyeongchangmunhwa-ro, Jongno-gu, Seoul, KR
12월 9일
2022년

9 December
2022



Time Shifting Box
2022,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32min. 

타임 시프팅 박스
2022,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32분. 

영상 기획
리서치
리서치 도움
편집
3D 그래픽

음악
지원

주최
기획
협력 기획


Video
Research
Research Support
Edited by
3D Graphic
Text
Sound
Comissioned by

Hosted by
Curator
Co-Curator
노송희
노송희
유예동, 우아름
노송희
노송희
김재현
안다영
서울시립미술아카이브

서울시립미술아카이브
유예동, 이다영
B파운데이션
권주희, 우아름, 임다울, 최정윤, 호경윤

Songhee Noh
Songhee Noh
Yedong Yoo, Areum Woo
Songhee Noh
Songhee Noh
Jaehyun Kim
Dayoung Ahn
Art Archives Seoul Museum of Art

Art Archives Seoul Museum of Art
Yedong Yoo, Dayoung Lee
B Foundation
Joohee Kwon, Areum Woo, Daul Rheem, Jeongyoon Choi, Kyoung-yun Ho


Link


'발견', '전시 이전', '전시 이후', '기록', '복제'라는 다섯 개의 주제로 분류된 상자 안에 작은 상자들이 있고, 그 안에 문서와 물건들이 있다. 영상은 상자를 여닫고 문서를 펼치고 접으며, '질문-번역-변신'이라는 아카이빙의 무한한 순환 과정을 그린다. 유준상, 임동식이라는 두 인물의 컬렉션으로부터 발견한 자료는 백남준 작가, 김학량 큐레이터로 이어지고, 문서를 스캔하는 노송희의 손으로 연결된다.

Inside the boxes classified into five topics: 'discovery', 'before the exhibition', 'after the exhibition', 'record', and 'replication', there are smaller boxes, and inside them, there are documents and objects. The video depicts the infinite cycle of 'question-translation-transformation' in archiving, opening and closing boxes, and unfolding and folding documents. The materials discovered from the collections of two individuals, Yoo Joon-sang and Lim Dong-sik, are connected to artist Paik Namjune and curator Kim Hakryang, and connected by the hand of Songhee Noh scanning the documents.







The...Saver
시청각 랩
, 서울, 대한민국
용문동, 38-118, 1층

The...Saver
AVP Lab, Seoul, KR
1F, 38-118 Yongmun dong
11월 22일 - 12월 11일
2022년

22 November - 11 December
2022



Baem-Bam-Bom-Boom
2022, Single-channel video, color, 13min

뱀-밤-봄-붐
2022, 단채널 비디오, 컬러, 13min

영상


기획
작가





그래픽 디자인
메터리얼 그래픽
& 3D 애니메이션
주최
후원
공간 도움


Video
Text

Curated by
Artist





Spatial Designed by
Graphic Designed by
Materials Graphic
&3D Animation by
Organized by
Supported by

Venue Supported by

노송희
김재현

김예지
노송희
오목눈
젤다킨
최수빈
하슬기
홍자영
트리샤 킴
유혜리

시청각
서울문화재단, 서울시
스튜디오 TP


Songhee Noh
Jaehyeon Kim

Kim Yeji
Songhee Noh 
Moknunn Oh
Zelda KIN
Choi Soobin
Ha Seulgi
Jayoung Hong
NACA
Trisha Kim
Harrie Yoo

Audio Visual Pavili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tudio TP


Link


코로나 팬데믹 이후 종교, 믿음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감이 사회 곳곳에서 발견되었다. 신에 대한 믿음 뿐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의 믿음, 사랑에 대한 낭만적인 믿음, 더 나아가 모든 것에는 ‘사이’가 있고 그 ‘사이’를 교란하는 유혹이 있다. 교란과 유혹은 결국 해로운 것일까? 작업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1) 굳건하고 흔들리지 않고 자리를 고수하고 믿음직한 것들에는 음험한 구석이 있다. 2) 자신의 악마성, 치사함, 음험함을 인정하는 것에 최소한의 믿을만함이 있다.

After the COVID-19 pandemic, a fundamental skepticism about religion and faith was found throughout society. Not only faith in God, but also faith between people, romantic belief in love, and furthermore, there is a 'between' in everything and a temptation to disrupt that 'between.' Are disruption and temptation ultimately harmful? The work begins from this problem consciousness. 1) Things that are firm, unwavering, steadfast, and reliable have a sinister aspect. 2) There is a minimum trustworthiness in acknowledging one's own devilishness, meanness, and sinisterness.


추캐닛
시청각 랩
, 서울, 대한민국
용문동, 38-118, 1층

Abstract Cabinet(Offline)
AVP Lab, Seoul, KR
1F, 38-118 Yongmun dong
9월 23일 - 10월 9일
2022년

23 September - 9 October
2022



기획
작가





그래픽디자인
후원


Curated by
Artist






Graphic Designed by
Supported by



현시원
SMSM(Sasa[44], 박미나, 최성민, 최슬기)
구동희
노송희
주재환
쥬노 김
차슬아
홍은주, 김형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Seewon Hyun
SMSM(Sasa[44], Meena Park, Choi Sulki and Choi Sung Min) 
Koo Donghee
Noh Songhee
Joo Jaehwan
Jeuno Kim
Cha Seul-a
Eunjoo Hong, Hyungjae Kim
Arts Council Korea(ARKO)



Link


추캐닛은 추상 캐비닛의 오프라인 버전으로 추상 캐비닛의 단축 버전이다. 추캐닛의 목표는 단순하다. 같은 공간에 다섯 편의 6분짜리 영상을 한꺼번에 플레이하면 어떻게 보일까. 또 하루에 각각 한 작품을 택해 그 사운드를 바깥으로 빼내고, 나머지 사운드는 헤드셋 안에 들어가게 한다면 전시장의 공기는 얼마나 달라질까.

추상 캐비닛(abstractcabinet.org)은 전시장이자 송출 시스템이기를 주장했다. 그곳은 유무형 공간의 설계, 전시의 배치, 전시 ‘보기’의 추상성을 탐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추상 캐비닛에서 보이는 것은 아카이브 영상이 아니며 새로 제작되는 온라인 영상 전시이다. 이를 통해 오늘날 미술 공간과 규칙의 변화 가능성, 가변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2020년 이후 코로나가 만든 상황 때문이기도 했다.

추상 캐비닛은 전시의 구조에 대해 질문하며 시작했다. 각각의 작가들은 작업, 기록, 대화를 모티브로 한 ‘전시/영상’을 제작했다. 차슬아에게 그것은 이전 전시를 모티브로 한 새로운 작업이며 쥬노 김에게 그것은 아카이빙 자료에서 비롯된 비디오 작업이다. 주재환 작가의 영상은 도깨비 하나에서 출발해 2007년의 개인전 CCTV에 초점을 맞춘 작가 연구 인터뷰다. 구동희에게 화면은 구어체와 문어체의 시각화, 사운드의 실체와 파편과 덩어리의 관계를 배치한다. 노송희는 SMSM의 10주년 회고전을 온라인으로 옮겨와 시점과 동선, 기억에 속도를 부여하는 작업을 한다.

추캐닛에서도 역시 같은 말과 글, 작가들이 각각 만든 이동의 차원과 손 안에 든 차슬아의 것과 같은 물질이 있다. 구동희 작가의 작업과 주재환의 인터뷰가 말과 글의 형식을 180도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배치한다면, 쥬노 김과 노송희, 구동희의 작업은 과거 시청각 공간의 물리성과 아카이빙을 등장시킨다. 또 한 축에는 보는 방식을 컨트롤하거나 제시하는 방식에의 질문이 있다.





은미 뽕 축제
안은미컴퍼니 웹사이트
http://ahneunme.kr/

Eun-Me Pong Festival
Eun-Me Ahn Company Website
http://ahneunme.kr/
11월 1일
2022

1 November
2022



Rainbow Cube
2022,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29min.
레인보우 큐브
2022,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29분
연구와 기획
3D 그래픽
편집
자료제공

기획
작가






후원



Research and Directed by
3D Graphics
Edited by
Data Provided by

Curated by
Artist






Supported by

노송희
노송희
노송희
안은미

안은미컴퍼니
김경묵
노송희
이태석
이우인
우사샤
변천
차지량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Songhee Noh

Songhee Noh
Songhee Noh
Eun-Me Ahn Company 

Eun-Me Ahn Company 
Kyungmook Kim
Songhee Noh
Taeseok Lee
Uin Lee
Sasha Woo
Byunchun
Cha Ji Rya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rts Council Korea(ARKO)


Link


레인보우 큐브(Rainbow Cube)는 영상작품이자 가상의 전시 공간이다. 노송희는 안은미의 1990년부터 2022년까지의 작품 중 열일곱 개를 선택하여 레인보우 큐브 공간에 배치한다. 다른 주체로의 변신을 이어가는 안은미의 춤이 배치되는 레인보우 큐브 역시 다중적 주체성을 가진 혼종, 혼성의 공간이다. 영상은 여성의 몸에서 시작해 다양한 성적 정체성, 인류학 시리즈, 그리고 동아시아성에 대해 탐구한 안은미의 작업 세계를 통과한다. 이렇게 안은미의 무용 세계는 가상공간 속에서 재구조화된다. 이를 통해 관객은 신체(성)의 변형, 삶과 죽음 등에 대해 다각 면으로 감각할 수 있다.

Rainbow Cube is a video work and a virtual exhibition space. Songhee Noh selects seventeen works from Eun-me Ahn's repertoire from 1990 to 2022 and places them in the Rainbow Cube space. The Rainbow Cube, where Eun-me Ahn's dance of continuous transformation into different subjects is arranged, is also a hybrid, mixed space with multiple subjectivities. The video traverses Eun-me Ahn's artistic world, which begins with the female body and explores various sexual identities, anthropological series, and East Asian identity. In this way, Eun-me Ahn's dance world is restructured within virtual space. Through this, the audience can sense the transformation of the body (sexuality), life and death, and more from multiple perspectives. 


도면의 전시
시청각 랩
, 서울, 대한민국
용문동, 38-118, 1층

Exhibitions of Floor Plans
AVP Lab, Seoul, KR
1F, 38-118 Yongmun dong
5월 12일 - 18일
2022년 


12 - 18 May
2022



Dia;grams
2022,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7min. 
Dia;grams
2022,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7분. 

기획
작가






그래픽 디자인


Curated by
Artists






Graphic Designed by








현시원
김아름
노송희
진영기
차혜림
최하늘
라이팅밴드(홍은주 김형재 현시원)
AVP Archive
심규선 


Seewon Hyun
Areum Kim
Songhee Noh
Youngki Jin
Hyelim Cha
Haneyl Choi
Writing band
AVP Archive
Kuysun Shim


Link
〈Dia;grams〉는 영상 작품인 동시에 하나의 전시이다. 노송희는 현시원의 학술적 연구 ¹ 의 일부를 — 구체적으로 논문의 도판을 — 독립적인 요소로 살피며 전시장에 위치시킨다. 학술논문에서 도판이 글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보조 도구로서, 혹은 필자의 의견을 강화하는 자료로서 제시된다면, 작가는 도판을 중심으로 전시와 도면에 관한 연구를 재구조화하고 이를 전시장에 작품으로 배치한다. 〈Dia;grams〉를 위해 제작한 도면에는 전시 공간인 시청각 랩의 부감도를 포함해 작품의 배치, 관람 동선, 스케일 등이 표기되어 있다. 전시의 구조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동시에 영상의 구조와도 맞물리는 이 도면을 따라가다 보면 9개의 주요 전시와 3종류의 아카이빙 자료 ² 를 발견할 수 있다. 논문의 부가 자료인 도판에서 출발한 이 영상은 다시 한번, 전시 도면, 기록사진과 영상, 문헌, 비평, 미술관 웹 사이트 등을 오가며 전시로 부터 파생된 부수적 요소들을 전면에 내세운다. 〈Dia;grams〉는 ‘전시에 대한 전시’에 대한 전시이자, 전시를 둘러싼 것들의 이야기이다.

¹ 현시원, 《전시의 생성과 기록으로서의 ‘도면’의 시간성 연구》,2022

² MoMA의 컬렉션 중 작품을 선택하여 형태에 관한 탐구의식을 제시한 에이미 실먼(Amy Sillman)의 《Artist’s Choice: Amy Sillman—The Shape of Shape》(2020), 백남준의 첫 개인전 《Exposition of music-electronic television》(1963)과 이를 재전시한 《Nam June Paik: Music for all senses》(2009), 요셉 보이스를 추모하기 위해 그와 관련된 작품을 한데 모아 구성한 《Beuys vox》(1989), 대비되는 두 개의 공간을 구성하여 관람자에게 적극적인 경험을 선사한 《Partners: The teddy bear project》(2002), 흡사 놀이터를 연상케하는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관람자의 능동적인 반응을 유도한 《Dylaby》(1962)와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 Phalle)의 《HON – en katedral》, 그리고 이 두 전시에 대한 기록물을 포함한 장 팅겔리의 회고전《Jean Tinguely—machine spectacle》(2016), 수수께끼의 미로 사이에 장애물을 펼쳐놓은 듯한 조지 마키우나스(George Maciunas)의 《Flux-Maze (Flux-Labyrinth)》(1975-1976), 하랄드 제만(Harald Szeemann)이 기획한 전시로부터 파생된 아카이빙 자료, 〈Dia;grams〉가 설치되는 곳이자 영상 속 배경이 되는 공간 시청각의 문서, 전시 목록, 마지막으로 현시원의 학술적 연구의 참고 문헌이 전시장에 위치한다. 


〈Dia;grams〉 is both a video work and an exhibition. Songhee Noh examines a part of Seewon Hyun's academic research ¹ — specifically the plates from the thesis — as independent elements and places them in the exhibition space. While in academic papers plates are presented as auxiliary tools to aid understanding of the text, or as materials to strengthen the author's opinions, the artist restructures the research on exhibitions and diagrams centered on these plates and arranges them as works in the exhibition space. The diagrams created for 〈Dia;grams〉 include an aerial view of the exhibition space, Audio Visual Lab, along with the placement of works, viewing flow, scale, and more. Following this diagram, which allows one to see the structure of the exhibition at a glance while also interlocking with the structure of the video, one can discover 9 main exhibitions and 3 types of archival materials ². This video, which starts from the supplementary materials of the thesis, once again brings to the forefront the derivative elements from exhibitions by moving between exhibition diagrams, documentary photos and videos, literature, criticism, and museum websites. 〈Dia;grams〉 is an exhibition about 'an exhibition about an exhibition' and a story about things surrounding exhibitions.

¹ Seewon Hyun, 《A Study on the Temporality of 'Diagram' as the Creation and Documentation of Exhibition》, 2022

² The exhibition space contains: Amy Sillman's 《Artist's Choice: Amy Sillman—The Shape of Shape》(2020), which presents an exploratory consciousness about form by selecting works from MoMA's collection; Nam June Paik's first solo exhibition 《Exposition of music-electronic television》(1963) and its re-exhibition 《Nam June Paik: Music for all senses》(2009); 《Beuys vox》(1989), which gathered works related to Joseph Beuys to commemorate him; 《Partners: The teddy bear project》(2002), which created contrasting dual spaces to offer an active experience to viewers; 《Dylaby》(1962) and Niki de Saint Phalle's 《HON – en katedral》, which induced active responses from viewers with a display method reminiscent of a playground; Jean Tinguely's retrospective 《Jean Tinguely—machine spectacle》(2016), which includes documentation of these two exhibitions; George Maciunas's 《Flux-Maze (Flux-Labyrinth)》(1975-1976), which seems to lay out obstacles between mysterious mazes; archival materials derived from exhibitions curated by Harald Szeemann; documents and exhibition lists from Audio Visual, the space where 〈Dia;grams〉 is installed and which serves as the background in the video; and finally, the references from Seewon Hyun's academic research.





밤의 플랫폼
아르코 예술극장, 서울, 대한민국
종로구 대학로 8길 7

Night on Platform
Arko Arts Theater, Seoul, KR
7, Daehak-ro 8-gil, Jongno-gu
10월 1일 - 11월 26일
2021년

1 October - 26 November
2021



The truth is the one that is masked
2021,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6min 20sec.
진리는 가면의 진리다
2021,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6분 20초.

영상
3D 그래픽
음악
번역
연구도움
자료제공










기획
작가

주최
협력
주관


Video
3D graphics
Sound
Translation
Research Support
Data provide













Curated by
Artist




Host
Cooperation
Organizer


노송희
노송희
안다영
오다인
김예지, 김재리
아르코예술기록원
안은미
이경희, 『백남준, 나의 유치원 친구』, 디자인 하우스, 2011.
이경희, 『백남준 이야기』, 열화당, 2000.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한국정책방송 
춤지, 1992, 9월호.
춤지, 1986, 11월호.


김재리, 전강희, 현시원
권령은x오설영x 정지혜, 김동희, 김익현, 나연우, 남정현, 노송희, 맛깔손, 오석근, 이리, 홍은주 김형재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아르코예술기록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Songhee Noh
Songhee Noh
Ahn Dayoung Ahn 
Dain Oh
Kim Jaelee, Kim yeji
Ahn Eunme
Arko Arts Archive
Korea Digital Archives for the Arts
KTV
Lee Kyunghee, NAM JUNE PAIK, My Kindergarten Friend, Design house, 2011.
Lee Kyunghee, NAM JUNE PAIK, My Kindergarten Friend,Youlhwadang Publishers, 2000.
Choom, The Dance Monthly of Korea, November 1986.
Choom, The Dance Monthly of Korea, September 1992.

Kim Jaelee, Jung Kanghee, Seewon Hyun
Ryeong-eun Kwon x Seol-young Oh x Ji-hye Jeong, Dong-hee Kim, Ik-hyun Kim, Yeon-woo Na, Jeong-hyun Nam, Songhee Noh, Matkkalson, Seok-geun Oh, Iri, Eun-ju Hong Hyung-jae Kim
Arko & Daehakro Arts Theater
ARKO Arts Archive
Arts Council Korea (ARKO)


Link


작품 〈진리는 가면의 진리다〉는 〈92 춤의 해를 위한 백남준 퍼포먼스와 김현자의 춤〉 공연 소책자에 실린 백남준의 글 〈Software로서의 춤을-현대무용가에게〉¹ 를 중심으로 무용이 기록되는 방식을 탐구한다. 또한 영상 곳곳에는 안은미와 대구시립무용단의 <하늘 고추> 공연 기록물이 등장한다. 〈하늘 고추〉²가 섹슈얼리티 한 관점에서 크기의 문제를 다루었다면, 본 작품은 이를 형식적 차원으로 끌어들여 영상과 3D 시공간의 크기 문제로 연결한다. 영상의 움직임은 물리적 공간으로서의 무대와 비물리적 형태로 남겨진 데이터로서의 기록물을 교차하며 극장의 곳곳을 통과한다. 작품은 연속적 시간의 흐름을 거부하며 다층적 시간의 충돌을 야기한다.  

¹ 〈Software로서의 춤을 -현대무용가에게〉 는 월간 ‘춤’ 86년도 11월 호에 게재된 글이다. 이 글은 1992년 춤의 해에 열린 〈92 춤의 해를 위한 백남준 퍼포먼스와 김현자의 춤〉의 소책자에 다시 한번 실렸다.

² 안은미(안무)와 대구시립무용단의 〈하늘 고추〉는 2002년 대구문화예술회관(제41회 정기공연), 그리고 문예진흥원예술극장(제22회 국제 현대무용제 MODAFE)에서 2003년에 공연되었다.


The work "The Truth is the Truth of the Mask" explores how dance is recorded, centering on Nam June Paik's writing "Dance as Software-To Contemporary Dancers"¹ published in the booklet for the performance "Nam June Paik's Performance and Kim Hyun-ja's Dance for the Year of Dance '92". Additionally, performance documentation of Eun-me Ahn and Daegu City Dance Company's "Sky Pepper" appears throughout the video. While "Sky Pepper"² addressed the issue of size from a sexuality perspective, this work draws it into a formal dimension, connecting it to the issue of size in video and 3D space-time. The movement in the video traverses throughout the theater, alternating between the stage as a physical space and documentation as data left in non-physical form. The work rejects the flow of continuous time and causes collisions of multilayered temporalities.

¹ "Dance as Software-To Contemporary Dancers" was an article published in the November 1986 issue of the monthly magazine 'Dance.' This article was republished in the booklet for "Nam June Paik's Performance and Kim Hyun-ja's Dance for the Year of Dance '92" held in 1992.

² "Sky Pepper" by Eun-me Ahn (choreography) and Daegu City Dance Company was performed at the Daegu Cultural Arts Center (41st Regular Performance) in 2002, and at the Arts Council Korea Arts Theater (22nd International Contemporary Dance Festival MODAFE) in 2003.





2021 DMZ 아트앤피스 플랫폼 
유니마루, 파주, 대한민국

2021 DMZ Art&Peace Platform 
Uni maru, Paju, KR
9월 15일 - 11월 15일
2021년

15 September – 15 November
2021



Sulki and Min ✕ Songhee Noh
There/Here
2021,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12min 8sec.
슬기와민 ✕ 노송희
저곳/이곳
2021,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2분 8초.
영상
3D 그래픽
촬영
음악
지도정보


주최, 주관
전시 기획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코디네이터


Director
3D graphics
Cinematography
Sound
Map data


Host, Organizer

Exhibition Director
Assistant Curator
Coordinator

노송희
노송희, 차현진
노송희, 노희상
안다영
구글어스
국토지리정보원

통일부 남북출입사무소, 문화협력 팀
정연심
김태현
김소진


Songhee Noh
Songhee Noh, Hyunjin Cha
Songhee Noh, Heesang Noh
Dayoung Ahn
Google Earth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Ministry of Unification Inter-Korean Transit Cultural Cooperation Team
Yoeon Shim Chung
Taehyun Kim
Sojin Joy Kim


Link
‘이상향’을 뜻하는 ‘유토피아(utopia)'는 어원상 ’존재하지 않는 곳‘을 뜻한다. 비무장지대(DMZ)는 유토피아에 대한 상충하는 관념과 욕망이 폭력적으로 충돌한 결과 형성된 공간이다. ’이곳(here)‘도 아니고 ’저곳(there)‘도 아닌 장소 로서, 일종의 전도된 유토피아(nowhere)이기도 하다. 도라산역에 무인 지대처럼 유지되는 컨테이너 공터에 임시 설치될 〈이곳/저곳〉은, 존재하지 않는 곳, 아무 곳도 아닌 곳을 다시 구체적인 장소로 선언하고픈 마음을 표현한다. 다만, 여기서 해당 공간은 ’이곳이냐 저곳이냐‘라는 양자 택일을 거부하는 이중적 장소로 규정된다. ’이곳도 아니고 저곳도 아닌 곳‘을 ’이곳이자 저곳‘으로 바꾸어 부르는 연습이다. 

슬기와민의 지면 그래픽 작품 이곳/저곳과 연계해— 얼마간은 그 작품을 실제로 보기가 어렵다는 사실에 대응해— 제작된 영상 저곳/이곳은 비무장 지대라는 장소가 지닌 이중성에 주목한다. 영상은 시간과 동선의 제약 하에서 인간이 경험하는 비무장 지대와 자유로이 공간을 오가는 동물의 신체로 경험하는 비무장 지대를 중첩시킨다. 같은 대상이 서로 다른 감각으로 인지되는 모습은 해당 공간의 모순된 상황이 ‘이곳이자 저곳’으로 변화할 가능성을 암시한다. 가상 공간에 연출된 비무장 지대는 러닝타임 12분 동안 지난 70년의 역사와 현재를 그리며 미래로의 확장을 모색한다. 
(슬기와 민)

The literal meaning of utopia – “an ideal state” – is “no place.”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 is a space created as a result of a violent clash between conflicting ideas and desires for utopia. As a site that does not belong either here or there, it is also a kind of utopia/nowhere. The empty container lot at the Dorasan Station is where Here/There is temporarily installed. It seeks to reclaim the site – which is nowhere therefore nonexistent – as a specific place, highlighting its dual identity that resists an either/or categorization. The work is an exercise of reimagining a space that is neither here nor there as a place that is here as well as there. The letterform is constructed against the surface grid of the enormous container yard. The words are so big that they are not easily recognizable from anywhere but from far above: an impossibility given the sensitive nature of the site. This inaccessibility makes the meaning of the work even more poignant.

Created to accompany our ground graphic work Here/There – and partly responding to its limited accessibility due to its location – There/Here focuses on the dual identity of the Demilitarized Zone (DMZ), which is not here nor there. This video overlays two contrasting images of the DMZ: one experienced by humans under constraints and the other perceived by animals with freedom. Through the contrast, it implies a possibility of transforming the paradoxical space into a place that is here as well as there. Over the 12-minute duration, the virtual DMZ recollects its seventy-year history and seeks to extend into the future.
(Sulki&Min)





추상캐비닛 (온라인)
http://abstractcabinet.org

Abstract Cabinet (Online)
http://abstractcabinet.org
1월 1일 
2021년

1 January
2021



SMSM ✕ Songhee Noh
Re:frame
2020,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7min 46sec.
SMSM ✕ 노송희
리:프레임
2020,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7분 46초

작가






기획 제작
큐레이터
영상 프로듀서
연구
기술 연구 · 영상 편집
인스타그램 진행
번역
웹사이트 설계 · 디자인
아이덴티티 · 
모션 그래픽 디자인
후원



Artists







Planning & Production
Curator
Video Producer
Research
Technical Research · Video Editing
Instagram Management
Translation
Website Planning & Design
Identity & Motion Graphic Design
Sponsors

쥬노 킴
SMSM (Sasa[44], 박미나, 최슬기, 최성민)
구동희
노송희
장영규
주재환
차슬아
시청각
현시원
진영기
신지현
심규선
김예지
오다인
홍은주 김형재
슬기와 민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서울문화재단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지원사업)


Jeuno JE Kim
SMSM (Sasa[44], Meena Park, Choi Sulki and Choi Sung Min)
Donghee Koo
Songhee Noh
Young-gyu Jang
Jaehwan Joo
Seulah Cha 
Audio Visual Pavilion

Hyun Seewon
Young-ki Jin
Ji-hyun Shin
Kyu-sun Shim

Ye-ji Kim

Da-in Oh
Eun-ju Hong, Hyungjae Kim

Sulki and Mi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rts Council Korea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Online Media Arts Activity Support Project)


Link


노송희는 시청각의 폐관 전시인 SMSM10 전을 재구조화한다. 그는 SMSM이 과거의 전시와 작업들을 2019년의 전시장에 다시 불러냈던 방식을 참조한다. 또 공간도 새로 세운다. 시청각의 실제 사이즈와 방 분할을 담은 손 도면, 스케치업을 3D 공간으로 제작한 것. 작가는 전시 투어를 3D 공간과 관객의 몸이 있는 실제 환경 간의 ‘관계'로 확장한다. 대부분의 온라인 전시 투어가 모니터 안에서 성인의 눈높이에 기반한 파노라마적 이동을 한다면, 노송희의 움직임은 줌 인/ 줌 아웃을 통해 ‘전시 보기’의 여러 방식들을 통과한다.

노송희의 영상 안에는 SMSM10 전시가 참조했던 작가들의 작업 그리고 시청각의 이전 전시 아카아빙이 중첩된다. 작가는 슬기와 민, 박미나, Sasa[44] 작가의 실제 작업과 사진 이미지와 텍스트, 그들의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여러 매체들간의 ‘이동’으로 읽어낸다. 리:프레임 안에는 전시장을 걷기, 보기, 읽기, 모니터와 스마트폰으로 손과 눈을 이동하며 스캔하기 등의 여러 행위들이 동시에 있다. 몸은 최소한 두 군데 이상 존재해야 한다. 방이거나 스마트폰 안이거나. 특정 전시의 입구와 출구, 기록을 따라가보자. (현시원) 


Songhee Noh restructures Audio Visual Pavilion's closing exhibition, SMSM10. She references how SMSM recalled past exhibitions and works in the 2019 exhibition space. She also builds a new space: hand-drawn plans containing Audio Visual Pavilion's actual size and room divisions, made into 3D spaces with Sketch-up. The artist expands the exhibition tour into a "relationship" between 3D space and the actual environment where the audience's body exists. While most online exhibition tours move panoramically based on adult eye-level within the monitor, Noh's movement passes through various ways of "viewing exhibitions" via zoom in/zoom out.

Inside Songhee Noh's video, the works of artists referenced by the SMSM10 exhibition and Audio Visual Pavilion's previous exhibition archives overlap. The artist interprets the actual works, photographic images, texts, and their vast databases of Seulgi and Min, Mina Park, and Sasa[44] as "movements" between various media. Within re:frame, multiple actions exist simultaneously: walking through the exhibition space, viewing, reading, scanning with hands and eyes while moving through monitors and smartphones. The body must exist in at least two places at once. Either in the room or in the smartphone. Let's follow the entrance and exit, the documentation of a specific exhibition. (Hyun Seewon)





춘춘향향 (온라인)
등포문화재단, 서울, 대한민국

ChunChunHyangHyang (Online)
Yeongdeungpo Cultural Foundation, Seoul, KR
4월 5일
2021년

5 April
2021



ChunChunHyangHyang
2021,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8min 50sec.
춘춘향향
2021,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8분 50초.
예술감독
영상감독
기획
안무
출연
스타일리스트
분장&소품
촬영감독
촬영보조
편집
3D 그래픽
그래픽 디자인
음악
지원

Artistic Director
Video Director
Planning
Choreography
Performers
Stylist
Makeup & Props
Director of Photography
Assistant Cinematographers
Editing
3D Graphics
Graphic Design
Music
Support

안은미
노송희
노송희
안은미, 김혜경
안은미, 김혜경
발코
레이첼샾
최종균
성승정, 이경윤
노송희, 윤지영
노송희, 차현진
최슬기
장영규
영등포문화재단, 안은미 컴퍼니

Eun-me Ahn
Songhee Noh
Songhee Noh
Eun-me Ahn, Hye-kyung Kim
Eun-me Ahn, Hye-kyung Kim
Balco
Rachel Shop
Jong-kyun Choi

Seung-jung Sung, Kyung-yoon Lee

Songhee Noh, Ji-young Yoon
Songhee Noh, Hyun-jin Cha
Seulgi Choi
Young-gyu Jang
Yeongdeungpo Cultural Foundation
Eun-me Ahn Company



영상 〈춘춘향향〉은 COVID-19 상황으로 인해 온라인 형태로 진행된 벚꽃축제를 위해 제작되었다. 노송희는 벚꽃이 지닌 동아시아적, 문화적 맥락에 초점을 맞추어 안무가 안은미, 김혜경과 협업하여 이 영상 작품을 구현한다. 작품에서는 구글 맵을 활용하여 동아시아 각지의 벚꽃 명소들을 탐색하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초월한 여정을 선보인다. 영상은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의 이미지를 융합하고 관통함으로써 디지털과 물리적 영역 사이의 경계를 탐험한다.

The video "ChunChunHyangHyang" was produced for a cherry blossom festival that was held online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Songhee Noh focuses on the East Asian and cultural context of cherry blossoms, collaborating with choreographers Eun-me Ahn and Hye-kyung Kim to realize this video work. The piece uses Google Maps to explore cherry blossom attractions across East Asia, presenting a journey that transcends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The video explores the boundaries between digital and physical realms by merging and penetrating images of virtual and real worlds.





여행을 (다시) 떠나요, 워크샵 비디오
Sasa[44] 개인전 《와당탕퉁탕》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어린이 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노원구 동일로 1238

Let's Travel (Again), Workshop Video
Sasa[44] Solo Exhibition "Wadangtang Tungtang"
Buk-Seoul Museum of Art, Children's Gallery, Seoul, KR
1238 Dongil-ro, Nowon-gu
5월 28일 - 8월 18일
2021년 



28 May - 18 August
2021



Let’s go on a trip (again) 
2021,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10min 9sec.
여행을 (다시) 떠나요
2021,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0분 9초. 

영상
3D 그래픽
음악
연구 협력
자료 제공
커미션


Video
3D Graphics
Music
Research 




Materials Provided by


Commissioned by

노송희
노송희
안다영
안은별, 유한나, 최지은, 고은빈, 김서린
Sasa[44], 김동희,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Songhee Noh
Songhee Noh
Dayoung An
Eunbyeol An
Hanna Yoo
Jieun Choi
Eunbin Go
Seolin Kim
Sasa[44]
Donghee Kim
Seoul Museum of Art, Buk-Seoul
Seoul Museum of Art, Buk-Seoul



Link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모두의 여행 생활에 위기가 닥친 2021년, 〈여행을 (다시) 떠나요〉는 이 상황을 관광여행을 새롭게 재감각할 수 있는 기회로 바라본다. 기획으로 참여한 안은별 연구자는 Sasa[44] 작가가 보여준 기록·정리의 방법론을 자신의 연구 분야인 관광여행에 적용하였고, 사물과 기록을 동원해 여행을 재구성하는 워크숍을 제안했다.

이전과 같은 신체 이동이 불가능해지자, 떠남에 대한 사회적인 열망은 새로운 형태의 여행을 상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워크숍은 도리어 이미 다녀온 여행을 다시 꺼내어보고자 했고, 이를 살펴보는 새로운 방법으로 ‘데이터 정리’를 제시한다. 대개 여행 회상은 감상적인 추억팔이로 흘러가곤 하는데, 데이터를 기준 삼아 내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지난 경험을 재발견하고, 나아가 팬데믹 시기의 조건인 이동불가능성에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했다.

약 반년간 개발한 프로그램의 취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영상을 제작했다. 프로그램을 영상 매체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내용에 대한 검토가 재차 이루어졌기에 영상은 일종의 연구 결과물이기도 하다. 영상을 만든 노송희 작가는 «와당탕퉁탕»의 전시 공간을 표현의 매개체로 삼았다. 버스가 전시장을 가로질러 ‘여행을 (다시) 떠나요’ 정류장에 멈추고, 영상의 시점이 3D 모델링 된 〈TM4T〉 속으로 들어가면 공항의 검색대가 등장하는 등 영상은 전시 동선을 따라 여행, 이동, 수집 등의 키워드가 각 작품에 호응하며 전개된다.


In 2021, when the coronavirus crisis impacted everyone's travel habits, "Let's Travel (Again)" views this situation as an opportunity to re-experience tourism in a new way. Researcher Eunbyeol An, who participated as a planner, applied the methodology of documentation and organization demonstrated by artist Sasa[44] to her research field of tourism, and proposed a workshop that reconstructs travel through objects and records.

As physical movement became impossible in the same way as before, social yearning for departure manifested in imagining new forms of travel. This workshop, however, aimed to revisit travels already taken, and presents "data organization" as a new method for examining them. Travel reminiscences often drift into sentimental nostalgia, but the workshop hop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discover past experiences that one thought they knew well through the lens of data, and further reflect on the immobility that characterized the pandemic period.

A video was produced to effectively convey the purpose of the program developed over about six months. As the content was reviewed again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program through video media, the video also serves as a kind of research outcome. Artist Songhee Noh, who created the video, used the exhibition space of "Wadangtang Tungtang" as a medium of expression. The video unfolds following the exhibition flow—a bus crosses the exhibition hall and stops at the "Let's Travel (Again)" station; when the video perspective enters the 3D-modeled "TM4T," an airport security checkpoint appears—with keywords such as travel, movement, and collection resonating with each ar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