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7th CHANGWON Sculpture Biennale
30th Anniversary Exhibition Celebrating the Korean Pavilion at the Venice Art Biennale
Ministry of Education, South Korea, Teachers Certificate (Art)
스페이스 캔, 서울, 대한민국
선잠로 2길 14-4
CRÊPES
Space CAN, Seoul, KR
14-4, Seonjam-ro 2-gil, Seongbuk-gu
2020년
20 November - 27 November
2020
2020, Acrylic on canvas, 20 x 20 cm. (30EA)
2020, 캔버스에 아크릴릭, 20 x 20 cm. (30EA)
작가
주최
Curator
Artists
Organizer
김소정, 노송희, 이나하, 이주영
캔 파운데이션
Kim Ayoung, Lee Kiwon
Kim Sojeong, Noh Songhee, Lee Naha, Lee Juyoung
CAN Foundation
스캔한 파일을 10:1 스케일로 확대하고, 20×20cm 캔버스 크기에 맞도록 분할한다. (10:1 스케일 → 200×280cm / 질감 1장당 140개의 캔버스를 제작할 수 있다.)
20×20cm 캔버스 천 위에 '스캔-확대'된 질감의 패턴을 프린트한다. 프린트된 패턴 위에 투명 미디엄을 이용해 질감을 만든다. 3D 프로그램에서 질감을 만드는 방법을 따른다. 구체적으로는, Texture Bump 기능을 이용해 질감의 사실감을 더하는 방법에 기초한다. 미세한 질감이 생긴 캔버스 위에 시간의 흔적으로서 색을 입힌다. 특정 장소, 특정 시간에 관찰한 하늘의 색을 조색하고, 에어브러시를 이용해 도포한다. 에어브러시의 특성에 의해 평평하고 눈에 잘 보이지 않던 그림 속 질감이 드러난다.
Record traces from the space where you are staying. Collect textures using the frottage technique. (Paper size: 20×28cm) Scan the collected textures. (Black and white, 1200dpi)
Enlarge the scanned file to a 10:1 scale and divide it to fit a 20×20cm canvas size. (10:1 scale → 200×280cm / One texture sheet can produce 140 canvases.)
Print the pattern of the "scanned-enlarged" texture on a 20×20cm canvas cloth. Create texture on top of the printed pattern using transparent medium. Follow the method of creating texture in 3D programs. Specifically, it is based on using the Texture Bump function to add realism to the texture. Apply color as a trace of time on the canvas with fine texture. Mix colors of the sky observed at a specific place and time, and apply using an airbrush.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rbrush reveal the texture in the painting that was flat and barely vi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