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산은 섬이다
몰타기사단 수도원
베니스, 이탈리아

Every Island is a Mountain
Palazzo Malta-Ordine di Malta
Venezia, IT
4월 9일 - 9월 8일
2024년

9 April – 8 September
2024



RAS (Random Access Space)
2024,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12min
랜덤 액세스 스페이스
2024,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2분


감독
편집
음악
글 인용

자료제공



자료 촬영
커미션
도움

예술감독
공동 큐레이터
협력 큐레이터
아카이브 책임연구원
아카이브 연구원
아카이브 영상 작가


Directed by
Video Edited by 
Music by
Text Quote from

Archival Materials given by


Photography by
Commissioned by 
Special Thanks to

Artistic Director
Co-Curator
Associate Curator
Senior Archive Researcher
Archive Researcher
Archival Video Artists



노송희
노송희
안다영
김석철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설계 이야기」
만쿠조와 세레나 도시건축설계사무소 
프랑코 만쿠조
아르코예술기록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CJYART STUDIO (조준용)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비파운데이션 (호경윤, 이다영)

임근혜
심소미
변영선, 이준영, 채병훈
호경윤
이다영
노송희, 백종관


Songhee Noh
Songhee Noh
Dayoung Ahn
Seok Chul Kim
Behind the Scenes: Designing the Korea Pavilion at the Venice Biennale
Mancuso e Serena Architetti Associati, Franco Mancuso
ARKO Arts Archive, Arts Coundil Korea
CJYART STUDIO(Junyong Cho)
Arts Council Korea
Bf(Kyoung-yun Ho, Dayoung Lee)

Jade Keunhye Lim
Somi Sim
Youngsun Byun, Junyoung Lee, B. Jun Chae
Kyoung-yun Ho

Dayoung Lee
Songhee Noh
Paik JongKwan


Link


작품에는 1993년부터 1995년까지 한국관을 짓는 과정에서 생성된 건축 도면, 도큐먼트, 드로잉이 등장한다. 건축가 김석철과 함께 한국관 건축에 참여했던 프랑코 만쿠조가 2023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아르코 기록원)에 그간 모아두었던 자료들도 등장한다. 1990년대 한국의 문민정부, 백남준, 건축가 김석철과 프랑코 만쿠조(Franco Mancuso)의 적극적인 활약이 한국관 건립 아래에 있었다. 관객들은 이들이 주고받았던 파편적인 기록과 기억들, 예를 들면 건축 과정에서 생기는 소음, 한국-이탈리아의 건축가들이 주고받았던 팩스, 드로잉, 건축 모형 등을 감상할 수 있다. 이것들은 리듬을 만들어간다. 당시의 상황을 즐겁게 상상하도록 한다. 

The work features architectural drawings, documents, and sketches cre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Korean Pavilion from 1993 to 1995. Materials that Franco Mancuso, who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Korean Pavilion alongside architect Kim Seok-cheol, had collected and submitted to the Arts Council Korea (ARKO Archives) in 2023 are also displayed. The Korean civilian government of the 1990s, Nam June Paik, architect Kim Seok-cheol, and Franco Mancuso played active roles in establishing the Korean Pavilion. Viewers can appreciate the fragmentary records and memories exchanged between them, such as construction noise, faxes exchanged between Korean and Italian architects, drawings, and architectural models. These elements create a rhythm, allowing visitors to pleasantly imagine the circumstances of tha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