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마피칭: 기록하는 미술관, 기억하는 미래
서울시립미술아카이브, 서울, 대한민국
종로구, 평창문화로 101 

SeMA PITCHING: Art Museum that Archives, Remembering Future
Art Archives Seoul Museum of Art
101, Pyeongchangmunhwa-ro, Jongno-gu, Seoul, KR
12월 9일
2022년

9 December
2022



Time Shifting Box
2022,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32min. 

타임 시프팅 박스
2022,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32분. 

영상 기획
리서치
리서치 도움
편집
3D 그래픽

음악
지원

주최
기획
협력 기획


Video
Research
Research Support
Edited by
3D Graphic
Text
Sound
Comissioned by

Hosted by
Curator
Co-Curator
노송희
노송희
유예동, 우아름
노송희
노송희
김재현
안다영
서울시립미술아카이브

서울시립미술아카이브
유예동, 이다영
B파운데이션
권주희, 우아름, 임다울, 최정윤, 호경윤

Songhee Noh
Songhee Noh
Yedong Yoo, Areum Woo
Songhee Noh
Songhee Noh
Jaehyun Kim
Dayoung Ahn
Art Archives Seoul Museum of Art

Art Archives Seoul Museum of Art
Yedong Yoo, Dayoung Lee
B Foundation
Joohee Kwon, Areum Woo, Daul Rheem, Jeongyoon Choi, Kyoung-yun Ho


Link


'발견', '전시 이전', '전시 이후', '기록', '복제'라는 다섯 개의 주제로 분류된 상자 안에 작은 상자들이 있고, 그 안에 문서와 물건들이 있다. 영상은 상자를 여닫고 문서를 펼치고 접으며, '질문-번역-변신'이라는 아카이빙의 무한한 순환 과정을 그린다. 유준상, 임동식이라는 두 인물의 컬렉션으로부터 발견한 자료는 백남준 작가, 김학량 큐레이터로 이어지고, 문서를 스캔하는 노송희의 손으로 연결된다.

Inside the boxes classified into five topics: 'discovery', 'before the exhibition', 'after the exhibition', 'record', and 'replication', there are smaller boxes, and inside them, there are documents and objects. The video depicts the infinite cycle of 'question-translation-transformation' in archiving, opening and closing boxes, and unfolding and folding documents. The materials discovered from the collections of two individuals, Yoo Joon-sang and Lim Dong-sik, are connected to artist Paik Namjune and curator Kim Hakryang, and connected by the hand of Songhee Noh scanning the documents.